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태국 여행 중 생긴 작은 해프닝

by Koriland 2025. 8. 24.

예상치 못한 환승 실수와 손바닥 지도가 된 티켓

 방콕에서의 첫 며칠, 나는 스스로 꽤 적응이 빠르다고 믿었다. 지하철 노선도도 머릿속에 넣었고, BTS와 MRT의 환승역 이름도 몇 번 되뇌었다. 그런데 그날 저녁, 숙소로 돌아가려 역 플랫폼에 서서 멍하니 휴대폰을 보다가 반대 방향 열차를 탄 사실을 두 정거장 지나서야 깨달았다. 급히 내려 다시 반대편으로 건너가려는데 래빗카드 잔액이 모자랐는지 개찰구가 붉은 불을 켜고 나를 붙잡았다. 지갑엔 동전이 없고, 환전한 지폐는 거스름돈이 애매했다. 당황해 발을 동동 구르는 나를 본 역무원이 “마이펜라이”라며 미소 짓고는 손짓으로 충전기를 가리켰다. 문제는 내가 태국어만 보면 문자 대신 그림처럼 읽는다는 것. 그때 옆에 있던 대학생이 “톱업, 톱업” 하며 내 카드를 기계에 얹어 주고, 필요한 금액을 계산기 화면에 적어 보여 주었다. 충전을 마치고 표 게이트에 다시 대자 이번엔 초록 불이 켜졌다. 그런데 또 하나의 해프닝. 잘못 탄 열차에서 내리며 급히 접어 넣었던 종이 단일권이 땀에 젖어 지갑 속에 붙어버린 것이다. 나는 난감한 표정을 지었고, 역무원은 내 지갑을 가리키며 “OK, no need”라고 말하더니 작은 포스트잇에 손으로 화살표와 역 이름을 적어 내밀었다. 손바닥을 펼치라 하더니 거기에 화살표를 다시 그려 주며 “한 번만 더 갈아타면 숙소 역”이라고 영어와 태국어 반씩 섞어 설명해 준다. 나는 연신 고개를 끄덕이며 감사 인사를 했다. 플랫폼으로 돌아와 손바닥의 작은 지도를 보며 열차를 기다리는데, 시원한 냉방 바람과 함께 조금 전의 당황스러움이 웃음으로 바뀌었다. 결국 내가 잃었던 건 방향감각이 아니라 마음의 여유였다. 반대편 열차가 들어오자, 손바닥의 화살표가 초록 불처럼 환하게 보였다. 문이 열리고, 나는 그 화살표가 가리키는 쪽으로 한 발 내디뎠다. 작은 실수 하나가 친절을 만나 지도 한 장이 되었고, 그 지도 덕분에 낯선 도시의 밤이 한결 부드러워졌다.

야시장에서 벌어진 주문·계산의 콤비 플레이

 콘깬의 야시장에서는 입과 손이 동시에 바빠졌다. 쏨땀, 가이양, 카오니아오를 주문하려고 줄을 서면서 머릿속으로 발음을 열 번쯤 연습했다. 내 차례가 오자 “마이펫, 펫 니트노이”라며 어색한 미소를 보탰다. 아주머니는 “오케이!” 하고는 절구에 라임과 마늘, 고추를 넣어 둥탁둥탁 리듬을 만들었다. 문제는 다음 가판대의 꼬치 집. 나는 설탕을 빼 달라는 뜻의 “마이사이 탕캄”을 덜렁 기억해 두고 얼떨결에 “마이사이 남깽(얼음 넣지 말아달라)”처럼 들리게 말해버렸다. 주인은 웃음을 참다 못해 “드링크? 푸드?” 하고 되물었고, 나는 얼굴이 붉어진 채 손짓으로 ‘소스’와 ‘달콤함’을 번갈아 가리켰다. 옆에서 기다리던 학생이 구원투수처럼 등장해 “설탕 말고, 조금만 매콤하게”를 또박또박 통역했다. 한숨 돌리자 이번엔 계산대에서 소소한 사건이 이어졌다. 현금으로 계산하려는데 아주머니가 바쁘게 손님을 상대하다가 거스름돈을 10바트 더 얹어 주었다. 내가 계산기 화면에 금액을 다시 적어 “노, 노” 하고 손사래를 치자, 아주머니는 두 손을 모으며 고개를 끄덕였다. 옆 가게 사장님이 “굿!” 하고 엄지손가락을 들어 보이고, 줄 서있던 손님들이 박수처럼 웃음을 보냈다. 우리 테이블로 돌아오니 주문이 또 하나 잘못 도착해 있었다. 카오니아오 대신 쌀국수가 놓여 있었는데, 배달 소년이 허겁지겁 뛰어와 “쏘리”를 연발하며 sticky rice를 다시 건네주었다. 나는 “마이펜라이”라고 말하며 남아 있던 쌀국수는 옆 테이블과 나눴다. 자연스레 대화가 이어졌고, 어느새 우리는 서로의 메뉴를 한 숟갈씩 맛보며 ‘이 가게는 양념이 과감하다’, ‘저 가게는 불향이 좋다’는 동네 평을 교환하고 있었다. 야시장에 수십 개의 가판대와 수백 개의 메뉴가 있어도, 결국 사람과 웃음이 주문을 완성한다는 걸 그날 알았다. 말이 엇갈려도, 숫자가 틀려도, 손짓과 미소가 사이를 메웠다. 돌아보면, 해프닝의 절반은 실수에서 시작했지만 나머지 절반은 친절이 마무리했다. 계산대 위에 놓인 작은 계산기와 절구 소리, 그리고 “캅쿤”의 억양이 하나의 합주처럼 겹쳤다.

스콜, 끊어진 슬리퍼, 그리고 즉석 수선사가 만든 결말

 우돈타니에서 스콜을 만난 날, 해프닝은 파도를 타듯 연달아 왔다. 하늘이 순식간에 어두워지더니 굵은 비가 수직으로 쏟아졌다. 나는 근처 카페 차양 아래로 뛰어들며 젖은 셔츠의 물기를 털었는데, 그 순간 슬리퍼 끈이 툭 하고 끊겼다. 젖은 바닥에서 미끄러지지 않으려 잔걸음을 옮기며 난감해하자 카페 직원이 수건과 고무줄을 건네며 “웨잇, 웨잇” 했다. 하지만 임시방편은 금세 한계를 드러냈다. 비가 잦아들자 직원이 골목 끝을 가리켰다. 거기에는 바늘과 펜치, 손톱만 한 못과 고무 패치를 늘어놓은 이동식 수선대가 있었다. 노인은 내 슬리퍼를 조심스레 뒤집어 고무 패치를 원형으로 잘라 끼우고, 뜨거운 쇠막대로 구멍을 다시 뚫어 새 끈을 통과시켰다. 작업 내내 노인은 “타이, 스테디(튼튼)”라고 반복했고, 나는 비에 젖은 동전 대신 지폐를 내밀며 웃었다. 극적으로 신발이 해결되었다 싶었을 때 또 하나의 소동. 사원에 들르려 했는데 반바지 차림이라 입장이 어려웠다. 입구 관리인은 “론사바이?” 하며 웃고는 색색의 사롱이 걸린 걸대를 가리켰다. 보증금을 맡기고 허리에 사롱을 둘러보니, 비에 젖어 서늘했던 몸에 천의 온기가 퍼졌다. 사원 마당에서 잠깐 머리를 식히고 나오니 하늘에는 얇은 햇살이 다시 돌아와 있었다. 길가에서 바나나 잎에 싼 간식을 하나 사 먹으려 지갑을 열었더니, 비에 젖은 교통카드가 카드리더를 거부했다. 상인은 천천히 냅킨으로 카드를 닦아 주고, 자신의 단말기에 몇 번 더 부드럽게 가져다 댔다. 삑, 소리가 나자 우리는 동시에 환하게 웃었다. 숙소로 돌아오는 길, 고치고, 빌리고, 말리는 동작들이 하루를 채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해프닝은 불편함의 다른 이름이지만, 때로는 여행을 더 깊게 만든다. 끊어진 슬리퍼가 알려 준 것은 ‘도구의 수명’이 아니라 ‘도시의 손기술’이었고, 사롱이 남긴 것은 ‘규칙의 차가움’이 아니라 ‘배려의 따뜻함’이었다. 나는 배낭 지퍼에 붙은 물방울을 손끝으로 털며 마음속에 작은 문장을 적었다. 실수는 늘 생긴다. 그러나 태국의 거리에서는 실수 다음에 거의 항상 “마이펜라이”가 기다린다. 그 말이 내 어깨를 톡톡 치면, 해프닝은 사건에서 이야기로 변한다. 그리고 그 이야기는 여행이 끝난 뒤에도 오래 반짝인다.